글 수: 9    업데이트: 21-10-01 08:43

언론 평론 글

2009 이혜인 평론 <최성환>
이혜인 | 조회 1,748

청실홍실처럼

 

책이 지식인과 비평가를 위한 것이 아니고 독자에게 마음의 양식이 되듯이, 예술작품 또한 그러하다. 그런 면에서 작가의 작품은 나른하고 피곤해진 몸을 누일 수 있는 따뜻하고 부드럽고 편안한 쉴 자리처럼 느껴져 나도 모르는 사이에 그림이 아닌 실제 자수인 양 빠져 든다. 물론 너무 단정하고 단아하여 그 위에 아주 드러누워서 쉬는 것만은 조금 미안한 생각이 들긴 한다. 하지만 피로에 지친 나의 마음에 상큼한 활성제가 되어 주기엔 부족함이 없다.

 

과거에 한국의 자수(刺繡)는 여성들의 일상적인 작업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여인들의 단순한 노동이 아니었다. 여인들의 소망을 갖가지 문양을 통해 표현하고 가슴 속에 품어 두었던 미적인 감흥을 풀어내는 예술 행위였다.

 

그렇다면, 자수와 수채화의 만남은 어떤 현상을 만들어 낼까?

 

 작가의 작품은 수채화가 붓을 빠르고 단숨에 놀려 그려내는 작품이라는 일반적인 생각을 바꾸어 놓기에 충분하다. 작가의 작품을 볼 때마다 항상 그랬던 것 같다. 물론 수채화를 그리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겠지만, 작가는 바늘 대신 붓으로 수를 놓았다. 한 땀 한 땀 정성을 들이며 전통적인 자수에 담긴 정신을 진솔하게 되살려 놓았다.

 

작가가 즐겨 그리는 꽃과 나비는 섬세하면서도 질서정연한 가운데 자유가 느껴진다. 또한 흑백 사진이 주는 정감과 추억처럼 친근하다. 우리의 전통 혼례에서 쓰던 청실홍실이 매우 격식을 갖추어 엮어졌지만 두 가지 색상의 실타래가 놓인 모습은 우리에게 아무런 구속을 주지 않듯이 화면 구성에서 느껴지는 감동은 나의 부모님이 즐겨 들으시던 노래 ‘청실홍실’처럼 정겹다.

 

그러나 작가가 그리는 꽃과 곤충의 문양, 곱디고운 오방색은 옛 것이지만 옛 것이 아니다.

 

보자기 위에 배치된 꽃과 나비의 표정은 우리로 하여금 현실적인 유쾌함과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하나의 생명체를 의미하는 알들의 움직임은 몽환적인 상상의 세계로 인도한다.

 

고대(古代)의 한국 규방 예술이 작가의 작품을 통해 또 다른 생명으로 되살아났으니 예술의 매력(魅力)은 신비하고 또 신비할 따름이다.

 

글| 최성환 의학박사

 

 

 

[ a Commentary ]

 

As the books are not an exclusive field for the critics only, the piece of art is not just for the critics but for the so called, the ordinary people. In this aspect, the works of this artist, tempts me to lay my languid and fatigued mind to ease my self, as though this is a reality in which I can relax so tender and genial, I delude

myself as if it is a real art of an Embroidery, not a Drawing.

Somehow, the pieces are so attired and elegant that I feel awkward lying down there to rest for I might ruin them. Lee, Hei-In's masterpieces are tonic-shots that never fails to revitalize and bring back my appetite.

Embroidery which was once a feminine work, a labor, but at the same time they were works sublimed into a performing art which women were permitted to show the inspirations and desires held inside through various art patterns.

Then, what will happen when Embroidery meets Watercolor?

Her works are sufficient enough to change a concrete and outdated notion that watercolors are made by an alert stroke of brush. I always pondered upon that problem.

Undoubtedly, it consists of an many aquarelle techniques, but she took the place of the stitch with a brush. Stitch by stitch elaborating, she brought back the classical motive of a embroider's sincereness.

The artists favored floral blossoms and butterflies are delicate and everything is always neat and in place amidst of emancipation. It also gives us the intimate memory and sentiment a vintage black and white photo brings. But the insects and flowers patterns, the charming "Five -element colors of azimus " looks old, but it's modern.

It brings back the hundreds of yeared emotions and fascination then makes us feel the practical joy and comfort as well lead us to the world of fantasia.

An old aged Korean boudoir art has come to a new life in the hands of a Maestro,

Oh what a marvel, a miracle that only arts can perform.

 

Choi Sung-Hwan , MD, Ph.D.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