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2    업데이트: 19-11-27 16:38

언론 평론 노트

“원(圓)의 영원한 이마쥬(image)… ” 도예가 이점찬의 <달로부터展>
아트코리아 | 조회 814
“원(圓)의 영원한  이마쥬(image)… ” 도예가 이점찬의  <달로부터展>


대우주는 무한無限하다. 가이 없는 공간에서 태생胎生한 태양과 달과 지구는 모 두 둥글다.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 일종무종일一從無從一. 고대 고유경전인 천부경 天符經에 나오는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수數 둥글디 둥근 원圓의 철학”을 말한 다. 중국인들은 고대 인류의 발상지 쿤룬산崑崙山에서 발원한 황하黃河가 한없 이 넓고 길다 하여 하늘에서 시작되었다고 믿었다. 인간의 눈에 비친 영원을 향한 선線의 미학美學이다.
미술의 기원은 이 ‘선’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구석기시대 인류가 자기 표현을 위해 자연발생적으로 창출했다는 것이 대체적인 정설이다. 동굴벽화나 고인돌의 암각화에 새겨진 별자리는 주술적 신앙의 의도에서 그려진 것으로 이후 언어의 기원과 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전해진다. 고대 인류는 이처럼 기하학의 개념으로 원圓을 상징하며 하늘과 땅과 인간, 즉 천지인(天地人)을 자연과 생명체의 연계로 삼았다. 만 휘군상萬彙群象의 전체성을 나타낸 자연의 법칙이다.

한국의 미美는 예부터 자연에 바탕을 두었고 여기서 ‘선線의 미학’으로 발전해 왔다. 일본의 유명한 미술평론가이자 민예연구가인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 1889 ~1961가 한국의 미술, 특히 조선백자 달 항아리에 유연하게 드러난 선을 보고 “조선 의 도자기는 만들어진 것이 아닌 태어난 것”이라고 극찬했다. 이는 중국과 일본의 도 자기 작품에 비해 인공적인 가미加美가 전혀 없고 자연스러움을 그대로 재현했다는 뜻이다. 그는 한국의 미를 선線, 중국의 미를 형形, 일본의 미를 색色의 상징으로 봤다. 한국의 추상화가 김환기1913∼74는 자신의 저서 <한민족의 얼은 결국 항아리 에 멎었다>에서“고려청자와 조선백자는 하늘天氣과 땅土質과 이에 순응하는 인간 陶工이 아니고서는 빚어낼 수 없다”고 할 정도로 한국 도자기는 특출한 자연미를 나 타내고 있다. 한마디로 천지인天地人의 조화造化다.

중견 도예작가 이점찬은 외곬 인생 도예를 천직으로 삼고 백자, 특히 달 항아리에 천착해 왔다. 그는 한국도예미술의 정체성을 “형태 없는 존재로서 단지 지나친 공백 만 있을 뿐 백색의 공간처럼 본래 형태가 드러나지 않는 유전적 DNA”라고 말한다. 조형의 최소 단위인 선과 면面의 단순함을 살리되 그 안에서 느끼는 자연미와 감각의 표현은 원형圓形의 아름다움, 즉 선의 미학에서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이 순수한 가치를 찾기 위해 전통적인 기법과 고도의 기술을 연마하고 이를 통해 부드럽고 매끄러운 유선형의 백자(달 항아리)를 빚어내고 있다. 그의 작품을 한마디 로 표현하자면 “선과 면에 의한 최고의 미감美感”이라 할 수 있다. 평생을 통해 간난 艱難의 경험에서 묻어나오는 잠재의식이 면면이 이어온 전통성을 재현하려는 작가적 집념과 표현력(기법)을 바탕으로 창작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의 작품 ‘달 항아리’에 빚어진 대표적인 순백색은 청화백자나 철화백자에서 풍기는 이미지와 색감의 조화에서도 한국적인 정서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

그는 평생의 업業으로 백자를 빚으면서 전업작가 못지 않은 그림도 그리는 재주꾼 이다. 현대미술의 도예분야에서 작가들이 도자기 작품의 표면을 캔버스처럼 활용 해 다양한 묘화描畵를 새겨 넣고 있지만 그는 심혈을 기울여 완성한 도자기 작품에 걸맞는 이미지를 직접 그림으로 새겨 넣는다. 그가 빚어낸 도자기는 바로 영혼의 풍경 을 담아내는 캔버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는 도자기 본래의 모습을 훼손시킬 우려가 있어 가급적이면 과도한 장식적 요소를 피한다. 그렇다고 특별하거나 거창한 풍경을 담아내지도 않는다. 흔히 일상에 서 접할 수 있는 소소한 풍경들을 도자기에 즐겨 그려넣는다. 그의 작업실이 있는 경산 시 남산골의 소박한 풍경처럼…. 그 풍경은 때론 이름 모를 야생의 풀 한 포기와 꽃 한송이로 표현될 수도 있고, 나지막한 야산의 이미지가 선적線的인 묘화로 등장하기 도 한다. 아니면 이것도 저것도 아닌 달 항아리에 금빛의 휘영청 둥근달 하나만 그려넣을 때도 있다.
주로 금분 안료를 사용한다. 하여 그의 작품을 일컬어 “황금백자 달 항아리”라 부른다. 작품의 빛깔에서 반사되는 비율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특성과 세월이 지나도 변색되 지 않는 금은 태곳적부터 인류가 가장 귀중하게 여기는 원소였다. 자고이래自古以來 로 왕조시대에 왕권의 상징으로 권력을 대표하는 것이 금이었기 때문이다. 금은 모든 인류에게 부와 권력의 척도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도자기 표면에 금분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화려한 장식의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 으나 작가는 자신의 작품 속에 투영된 금빛의 의미를 기억에 살아나는 강렬한 이미 지로 작품에 담아내는데 의미가 더 깊다고 했다. 여기에다 변색되지 않는 금의 특성 처럼 개인적 사물 속에 담겨진 소중한 인연과 기억이 영원히 변치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만해 한용운1879∼1944의 <찬송讚頌> 이라는 시에서 보면 “님이여, 당신은 백번이 나 단련한 금결金結입니다.” 라고 표현하며 금을 비유해서 임에 대한 절대적 신뢰와 사랑, 기원을 노래하고 있다. 그는 시에서 임을 '금결'과 '아침 볕의 첫걸음'에 비유한 다. '금결'은 고귀함, 가치로움을 표상하고, '아침 볕의 첫걸음'은 광명의 시작을 의미 하는 희망의 상징이다.
밝은 순백색의 백자에 겹쳐지는 황금빛 둥근달… 이번 전시 주제인 <달로부터> 탄생한 작품이다. 무색무면無色無面의 정신을 대변하는 흰색은 자신을 낮추고 겸손함 을 드러내는 색깔이다. 어쩌면 유채색을 금기하고 무채색을 지향하는 우리 백의민족 의 정신을 나타낸 것인지도 모른다. 흰색은 색이 없는 그대로의 원색을 말한다. 따라 서 무색이며 그 자체가 자연이고 천지인의 순리에 따라 누대에 걸쳐 살아온 백의민족 의 상징성이기도 하다.
작가 이점찬은 순백의 도자기에 색을 입힐 때 엄밀히 표현하자면 문양을 새겨넣거나 그려넣는다고 표현함이 타당할 것 같다. 그가 표현하는 이미지는 대부분 자연의 야생 초나 야생화, 추상화된 식물이다. 그러니 군더더기 없이 간결하고 회화성이 뛰어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의 작가 이점찬이 빚어내는 백자는 자연스러운 손놀림과 손끝에서 베어 나는 회화성과 자연의 순수성이 어우러져 자신의 심상心想을 반영해 주는 독창적인 예술품으로 평가된다.
그의 도예작품에 나타난 문양은 회화적인 구성요소인 점點ㆍ선線ㆍ면面과 동양화 의 필요 요소인 여백의 미와 공간감, 그리고 농담과 기운을 두루 담고 있다. 단지 2차원적인 평면에 그려진 회화가 아닌 기형器形에 문양을 담은 것으로 일반 회화 와는 다른 3차원의 문양화文樣畵로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에다 백자의 기면器面에 유약을 발라 이로 인한 발색發色의 변화와 소성燒成에 의한 변화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 매력이 한층 더 돋보이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 그의 작품에 나타난 문양은 하늘ㆍ땅ㆍ인간, 즉 천지인의 조화속에 서 인간도 자연의 일부분으로 동화되어가는 회화성이 돋보인다는 점이다. 그의 작품 문양에서 나타나는 회화성은 어쩌면 자연주의의 미학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시각적 표현으로 탄생 하게 된 그의 백자 <달로부터>는 앞으로도 현대적인 미감에 걸맞는 맥을 계속 이어 갈 것이다.

이 미 애 (경주동국대학교 겸임교수ㆍ미술학 박사)



“An eternal image  of a circle... ”<Exhibition:  From the moon> by Lee, Jeom Chan, Ceramic Artist

The universe is infinite. The sun, the moon, and the earth, all of them were born
from the infinite space and they all are round. Il-shi-mu-shi-il (One-beginning￾nothing-beginning-one), Il-jong-mu-jong-il (one-end-nothing-end-one). This is the philosophy of "the eternal number, roundest and roundest circle" written in the Cheonbugyeong, the Korean ancient sacred book. The Chinese believed the Yellow River, which began from Mt. Kunlun, originated from the sky as it was
broad and long beyond the limit. This is the esthetics of line toward eternity shown to human eyes.
They say the art originated from that 'line'. It is the widely-accepted theory that the art began naturally as the mankind in the Paleolithic era wanted to express themselves. It is said that the cave paintings or the petroglyphs of constellation on a dolmen were made with the intention of shamanistic belief and affected directly o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languages. Like these, ancient mankind took the three factors of the sky, the earth, and the man as the linkage between
the nature and the living using the symbol of a circle as the concept of geology.
This is the law of the nature, representing the wholeness of 'all the herds and all the forms.'
The beauty of Korea, since long ago, has based on the nature and developed into the 'esthetics of line.' Yanagi Muneyoshi (1889~1961), a famous Japanese art critic and folk art researcher, cried up to the skies with the Korean art, especially the smooth line on the Moon jar, Jeseon porcelain. He claimed, "the Joseon White Porcelains were not made but born." This means they do not have any artificial additions and realized the natural being compared to the Chinese and Japanese porcelain artworks. He believed symbols of the Korean beauty as the line, the Chinese as the form, and the Japanese as the color.
Kim, Hwan Gi (1913∼1974), a Korean abstract painter, said in his book, 'The Korean people's spirit stopped on the jar, in the end', "Goryeo celadons and Joseon porcelains can not be created by anyone other than the three of the heavenly spirit and the earthly quality as well as the person (potter), who conforms to the heaven and the earth. This well shows the Korean porcelains'
exceptionally natural beauty. In one word, it's the harmony of the sky, the earth, and the man.
Lee, Jeom Chan, an established ceramic artist, has committed himself into the white porcelain, especially the moon jars, responding to the calling as the life of a ceramic artist only. He says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ceramic art, as "a being without a form and a genetic DNA that does not show its original form  like a white space with extraordinary blankness." This is because as it reserves the simplicity of the line and the face, the minimum units of dimensions but the
expressions of natural beauty and sense can only be found at the beauty of a circular form, that is, the esthetics of line.
He repeats to make soft, smooth, and streamlined white porcelains (moon jars) through the refining of the traditional and highly skilled technique in search of the pure value. His artworks, in a word, can be said as "the sense of the highest beauty via line and face." He produces creative works based on an artist's tenacity and expression technique to realize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with  the subconcious poverty-stricken lifelong experiences.
The representative pure white shown on his works of a 'moon jar' enables us to sense of the Korean sentiment of the harmony of image and color from green￾colored white porcelains or iron-colored white porcelains.
 
He is a talent who makes white porcelains as his lifetime calling while also paints just as good as a professional artist. Though there are many modern artists in the pottery area who inscribe various pictures utilizing the face of the artworks like they are painting on a canvas, he inscribes the picture himself of the very image that suites the artcraft which he created in a wholehearted way. This is because those porcelains made by him are the canvas on which he expresses the sceneries of his soul.
However, he tries to avoid inordinate decorative factors as they might harm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a porcelain.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e includes in the works a very specific or grandiose scene. He likes to inscribe every day ordinary scenes on porcelains. Like the simple scenery of the Namsangol, Gyeongsan city where his workshop is located,... sometimes, the scenery may be expressed as a clump of grass or a piece of flower that are from wild and
nameless or can take the form of a line-like description showing the image of a low hill. Or else, he may sometimes describe a round and bright moon only on the moon jar, not any other ones at all.
They call his works as "golden white moon jars" as he mainly uses gold powder paints. Gold has been the most preciously regarded metal ever since the history of mankind as the color does not change for a long time and it shines variously depending on the ratio of a work. This is why gold has symbolized and represented the royal authority of a dynasty since the ancient age. Gold is the
measure of the wealth and power to all the mankind up to now.
It may be regarded as ornateness to use the gold powder on the face of a porcelain. However, the artist lays more meaning on creating strong image that remains in memory and that can realize the meaning of the golden color which is projected in his works. Further, it also has the meaning that precious relations 
and memories in the personal matter would never change like the characteristics of gold.

In < Praise >, a poem of Manhae Han, Yong Un (1879~1944), the poet praises of absolute trust, love and wish in a metaphor to gold expressing, "Dearest, you are the crystallized gold that has gone through hundreds of refinements." He
compares his 'dearest' to crystallized gold and the first step of the morning star. The crystallized gold represents being precious and valuable while the first step of the morning star means the beginning of the great light, both symbolizing the hope.
A round golden moon, overlapped on a white porcelain with bright and pure white.... is the work that has been born from the exhibition theme, <From the moon>. The white, which represents the spirit of no color and no face, is the color that shows and represents being humble from the heart. Perhaps, this might represent the spirit of the Korean people, the White Clothes People, who have avoided colorful things and preferred neutral colors. The white color shows the origin of color without a color itself. Therefore, it is the none-color and the nature in itself. It is the symbol of the White Clothes People that continued generations conforming to the principles of the sky, the earth, and the man.
The artist, Lee, Jeom Chan may be said, so to speak, to be inscribing or painting designs when he colors on the pure white porcelains. The images he is describing is mostly about wild grasses, flowers or plants of the nature that are transformed into an abstract image. As such, they naturally are simple without any overlapping and excellent in painting.
 
However, the white porcelains produced by the modern artist, Lee, Jeom Chan are appreciated as original artworks that reflect his own mind images in harmony of the nature's purity and the excellence in painting from his fingertips and smooth handwork. The designs shown in his ceramic artworks contains every factor of painting - dot, line, and face - and essentials of oriental pictures - the beauty of blank, the sense of space, the thickness and thinness and the spirit. These can be seen as third-dimensional literary and descriptive pictures that differ from normal pictures as they contain the descriptions in a pottery form not like a normal picture which describes on a two-dimensional face. In addition, the artworks attract more attention as the porcelains are applied with enamel on the face which brings about unpredictable changes in the color and plasticity.
In conclusion, the designs shown in his works provides prominent artistic quality that shows that mankind becomes in unity with, and a part of the nature in harmony of the sky, the earth and the man. This artistic quality in the designs of his works are perhaps implicitly expresses the esthetics of the naturalism. His white porcelain, < From the moon >, which brought to the world via visual
expressions to go back to the nature by becoming one with the nature, will continue to carry on the modern sense of beauty in the future as well.

Lee Meeae
Ph.D. in Art, Adjunct Professor of Dongguk University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