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9    업데이트: 19-08-23 09:16

평론

부드러운 융화의 세계_이하석(시인) - A World of Warm Affinity
관리자 | 조회 708

부드러운 융화의 세계
 
밝은 연두빛 하늘 아래 완만하게 교차되는 초록선과 푸른선의 산, 그 밑으로 노란 길이 굽이 치며 언덕 뒤로 휘돌아 들고, 길가의 논밭과 둔덕사이로 흰빛섞인 연두빛 스레트 지붕들이 올망졸망 모여 있다. 부드러운 녹색의 덩어리로 나무들이 언덕과 지붕 위로 솟아 있다.
 
[학국의 자연]전에 걸린 노태웅의 그림 하나는 우리 모두의 뇌리 속에 선연하게 찍혀있는 어떤 낯익은 자연풍경을 보여준다. 그 자연은 단순한, 그래서 관념적 이기 까지한 자연이기 보다는 <낯익은 풍경>으로서의 자연이다. <낯익은 풍경> 이란 말에서 우리는 옛날 우리들 각자가 들어 있었던 그 곳 - <고향>을 쉽게 떠올릴 수 있다. 그렇다. 노태웅의 자연은 고향으로서의 자연이다. 우리나라 사람들 누구나 갖고 있고, 수시로 그리움으로 떠올릴 수 있는, 누구에게든 언제나 끝내 돌아갈 곳으로 설정되는, 그런 전형적인 풍경이다.
 
앞에 든 산골풍경 뿐만 아니라, 담배 말리는 토벽집이 있는 영주지역의 시골풍경과 섬진강 등 강풍경, 그리고 동해안과 남해안의 해안풍경들은 한결같이 <고향>으로 불릴 수 있는 그런 낯익은 풍경들이다. 무엇보다 이들 자연의 세계는 보는 이들을 정서적으로 이끄는 강한 흡인력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융화의 분위기가 가득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그점이 특히 두드러진다. 이들 그림 속의 소재들, 예컨데 길과 집, 나무, 배, 산, 구름등은 부드러움으로 휩싸여져, 또는 부드러움 그 자체로 상호융화된 상태를 드러내고 있다. 이번 전시의 명제인 [한국의 자연]은
이처럼 노태웅의 화폭 속에 드러난 모든 소재와 색채, 선들이 한국적 정서에 휩싸여 나타난데서 붙여진 것임이 이해된다. 그런 점에서 이들 풍경들은 한국적 정서가 표출된 고향의 심상 풍경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노태웅의 <고향의 심상풍경>은 이전의 그의 작업과 비교할 때 퍽 달라진 세계라는 느낌을 갖게 된다. 과거 그는 인적없는 대낮의 역풍경과 도시근교의 판자와 스래트 밀집지역의 풍경들을 집중적으로 보여주었다. 특히 그의 역풍경은 화면 전체가 흰색인 가운데 레일과 전선, 그리고 역사의 실루엣들로 드러나는 무수한 선들만이 얽힌채 뚜렷한 명암 구분과 함께 표출됨으로써, 거기에다 인간이 없는 대낮의 상황이 설정됨으로써, 비정한 기계의 세계였으며 인간이 소외된 막막한 세계였다.
이러한 소외의 세계는 그것과 대조를 이루는 인간의 동네, 그 중에서도 서민의 애환 이 짙게 깃들인 가난한 동네로 옮겨오면서 해소되어, 답답하지만 참된 삶터에 대한꿈을 보여 주게 된다. <가난한 동네>그림에도 전선과 길들, 집을 구성하는 수직과 수평의 선들이 중첩되어 있지만, 그 선들은 가난한 사람들을 품고 있거나, 가난한 사람의 삶과 이어진 선들이라는 점에서 역풍경에서 드러났던 선들과 구별된다.
 
선에 대한 말이 나온김에 덧붙이자면 이번의 [한국의 자연]계열의 작품들에 보이는 선들은 한국 사람들의 꿈과 밀접하게 닿아있다. 그것은 소외와 가난한 삶을 뛰어넘어서 만나게 되는 영원한 소속감으로 깃들수 있는, 어머니의 자궁같은 원적의 꿈, 곧 고향에의 꿈과 닿아 있다. 어떤 면에서 과거 그의 그림들에 무수히 나타나던 선들이 [한국의 자연]계열 작품에 오면 현격하게 적어지며, 오히려 색채과 색채의 경계로서의 의미도 축소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 그것은 선이 갖는 <연결>, 또는 <평면감>과 <바깥의 형태를 암시하는 것>들이 갖는 간명성과 소외의 의미들이 [한국의 자연]계열의 작품들에는 불필요하거나 무의미해졌음을 의미한다.
그대신 이 계열의 작품들에는 사물과 사물간의 경계가 부드러운 기운으로 감싸인채 드러나, 뭉뚱거려진 색채만으로 구름과 산, 길, 집, 파도, 바위, 나무들이 나타난다.
고향이 갖는 융화의 감정이 그렇게 표현된 것이다.
 
캔버스에 모래를 바른 대음에 색을 입히는 그의 독특한 마티에르 효과 구사의 진정한 의미가 그런점에서 최근의 [한국의 자연]계열의 작품속에서 확실히 살아났다고 볼 수 있다. 자잘한 모래 입자는 빛을 분산시켜서, 하폭 전체를 부드러움으로 휩싸이게 만드는데 효과적이다. 캔버스에 입힌 모래 입자는 선을 거칠게 끊으면서 이어주기 때문에 미세한 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투박한 선이 되기가 쉽고, 그것은 어떤면에서 불완전하게 느껴진다. 그러므로 선이 아닌 색채 자체의 드러냄에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노태웅의 [한국의 자연]은 그런 면에서 그의 모래 캔버스 추구가 당연한 귀결로서 도달한 세계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자연은 빛의 부드러움과 색채의 융합이 빚어낸, 안기고 싶은 세계이다. 그의 그림속 동네에 나도 열 평짜리 방 한칸을 지어서 쉬고 싶다.
 
 
이 하 석(시인)


A World of Warm Affinity
 

 Green and blue ridges slowly come across under the bright yellow-green sky Beneath the mountain a yellow trail goes around a hill, and yellow green colored slate roofs are gathered amongst the field and mounds. And warm greenish mass of trees are standing over the hill and roofs One of Rho's painting exhibited in 「Nature of Korea」 shows us a familiar land scape which is embossed on our memory. elives Nature depicted on that painting is not the nature as nominal or conceptual onee, but nature as 'a familiar landscape', The ex pression "a familiar landscape, reminds us of the 'hometown'. Yes, nature in Rho's painting is the nature as hometown. It is a typical landscape into which all of us could go back anytime and for which we yearn always.

 Not only the valley landscapes mentioned above, but the rural landscape works around Youngju area where we can see mud wall houses, landscape around Sumjin River, and seascape of East and South Sea are all we can call familiar 'hometown' landscapes.   Most of all, this natural world has the power of aspiration which appeals to our emotion. At the same time, it attracts our attention because it is a space full of affinity. Objects chosen for Rho's paintings- roads, houses, trees, boats mountain, clouds, for example are all mingled together showing the warmth as one entity. In this respect, his exhibition title 「Nature of Korea」 is understood as the symbol of a typical Korean esprit which is expressed in Rho's works with color and line. Still more, I think that his paintings are the imaginary landscapes which reveal the Korean esprit.
 
 By the way, 'imaginary hometown landscapes' of Rho are quite different with the works done before. In earlier works he concentrated on the cityscape including midday railway station in which nobody appears and swarmed slated houses in suburban area. Especially, the former, which is predominantly colored with white, which represents a skein of electrics wires, rails, and silhouette of buildings, and which makes use of strong value contrast, reveals a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in which man is alienated from the callous machine age. These cold- heartedness and alienation have been converted into the warmth of real life, as Rho has taken poor class village as his subject. As before, electric wires and alleies appear being transformed into verticals and horizontals, but these lines take a different meaning that they connect elives of poor people.

 It may be said in this connection that the lines appearing in the works included in 「Nature of Ko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dreams of Korean people. Those line lead to the dreams on hometown, dreams in which we feel our mothers' uterus, and those lines let us meet each other overcoming alienated and poor living condition. In some respect, the lines which overwhelmed Rho's earlier works get minimized in the works of 「Nature of Korea」, tending to be a boundary between color areas. This means that the conciseness and alienated feeling in the concepts of ‘connection’, 'flatness', and 'delineation', became unnecessary or meaningless in the works of 「Nature of Korea」. Instead, natural shapes are expressed with simplified tonal areas and with smoothened delineation in this series. We feel and affinity too hometown by such expression.

 Moreover, a special matière produced by painting pigment on the surface covered with sand takes another effect in these 「Nature of Korea」 series. Because the minuscule grain of sand disperses light, it seems to be the most perfect medium to envelop whole canvas with smoothness. Grain of sand covered on canvas does not permit fine linear effect. Thus lines are tend to be coarse and seems imperfect. Considering this, sand-covered surface is more effective to emphasize color than to draw lines.

 In all these respects, Rho's「Nature of Korea」 paintings are thought of as the result of experiments on sand-canvas. nature depicted in his works embraces us with warm natural light and color. I would like to build my own cottage in the village he depicted, and take a rest in it.

 
 
 Lee, Ha-seok
Poet


 
덧글 0 개
덧글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