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24    업데이트: 23-04-13 11:02

BOARD

사물 유희 파노라마, 송광익의 지물(紙物)
아트코리아 | 조회 513
송광익 작가는 그리기를 접고 2000년대 초부터 만들기에 집중해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그리고 그가 만든 작
품의 이름은 한결같이 지물(紙物, The Paper Things)이다. 지물이라는 이름아래 수많은 다른 지물들이 그
의 손을 통해 탄생했다. 전환의 시작은 어릴 적 빛과 바람의 기억을 소환하는 한지였지만, 이제는 한지에 머
무르지 않고 신문지, 잡지, 판화지 등 다양한 종이들의 숨은 내면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는 종이와 
상반된 특징을 가진 오브제(고무)를 작업에 더하여 종이의 물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주된 관심은 
종이다. 오랜 회화 작업을 버리고 그가 새로이 만난 종이와의 동행은 과연 어떤 발자취를 남기고 있을까?

지물 1. 知 알다, 드러내다. 친한 친구, 나를 알아주는 사람, 사귀다 : 지

우리는 흔히 예술가는 좀 다른 존재라는 생각을 공유한다. 따라서 이 ‘좀 다른 존재’들은 세상을 보는 방식
도 다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이들이 한 사람의 작가와 만났을 때 일어나는 신비한 현상을 우리는 
송광익 작가의 작업을 통해 만난다. 즉 지물은 하나의 사물과 한 인간의 만남, 그리고 그 깊이에 대해서 생각
하게 한다. 사상가 마르틴 부버는 인간의 태도가 ‘나와 너(Ich-Du)’ 혹은 ‘나와 그것(Ich-Es)’, 두 가
지 관계로만 세계와 대면하며, 참된 삶을 찾는 방법은 ‘나와 그것’의 관계가 아닌 ‘나와 너’의 관계 속에
서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 바 있다. 송광익 작가는 비록 종이가 하나의 사물이지만 ‘나와 그것’의 관
계로 만나는 것이 아니라 ‘나와 너’라는 관계로 만난다. 작가는 하나의 작업에서 지물이 전하는 다양한 성
질, 현상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기억한다. 그리고 그렇게 수집되고 축적된 경험은 다음 작업에서 또 다른 물성
과 정서를 지닌 지물로 탄생한다. 종이가 가진 수많은 얼굴들을 호기심과 예민한 감각으로 잡아내어 또 다른 
종이의 얼굴로 끊임없이 구현한다. 작가와 종이는 서로 자기 자신을 그리고 상대방을 알고 느낀다. 또한 작가
는 설레는 마음으로 종이와 끊임없이 현재적으로 만난다. 그리고 이 ‘나와 너’의 만남은 한계를 모르는 다
양한 형태의 지물(紙物)로 우리 앞에 나타나고 있다. 

지물 2. 物 물건, 만물, 사물 : 물

종이는 기원전부터 문화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류와 동고동락해 온 사물이다. 송광익 작가는 이제까지 
정보전달의 수단으로 부수적 기능을 담당하던 종이를 과거의 기능에서 해방시킨다. 종이는 수단이 아닌 순수
한 목적 자체다. 물질이 목적을 이루는 수단이 아닌 순수한 자기목적으로 이용되어 작품이 되는 과정은 현대
미술이 이룬 ‘자율성’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작품은 작가의 표현 결과이기에 내용과 의미를 함의한다. 
물질을 다루는 미술에 있어 내용과 의미는 외적 규명이며, 우리는 당연히 내용과 의미를 찾고 이를 토대로 작
품을 규정하려 한다. 이렇게 될 때, 때로 작품은 의미를 실행하는 도구로 봉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너’로
서의 종이는 그 얼굴을 잃는다. 송광익 작가는 지물의 민낯을 보여주기 위해 개념과 거리를 둔다. 어쩌면 형식
과 내용은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순수한 자기목적’은 불가능한 싸움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작가는 개념에 
저항하고 끊임없는 거리두기를 하면서 지물의 자유를 확보한다. 작가는 이러한 노력을 ‘힘을 뺀다’라고 표
현한다. 확보된 자유 안에서 종이는 수많은 지물로 탄생하고, 작가는 그로 인해 즐겁다. 과거 어린 시절 손에 
쥐어진 종이를 가지고 찢고, 접고, 붙이며 놀았던 순수한 즐거움이 송광익 작가의 작품 안에 스며있다. 


지물 3. 順 순하다. 순응하다, 잇다, 도리, 아름다운 눈 : 순

송광익 작가의 지물은 연속되는 ㅛ자형의 종이로 만든 단단한 기초 위에, 위로 세워지는 종이의 길이와 그 종
이의 열림과 접힘, 찢김과 잘림의 변주에 따라 다양한 작업이 만들어진다. 혹은 종이 위에 오브제가 얹혀 또 
다른 조화를 꾀하는데, 모두가 반복적인 작업이 쌓여 하나의 작품을 완성한다. 송광익 작가의 작업에는 반복, 
지속, 일정한 흐름이 있고, 끝없이 확장할 것만 같은 연장이 있다. 예술작품을 생산함에 있어 작가들은 각자
의 예술의지를 가진다. 이 예술의지는 생산, 배치, 조립, 구성 등과 같은 방식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
상은 작가의 의지와 경험, 그리고 무의지적 기억 속에서 만들어져 손의 노동을 통해 형식을 입고 우리 앞에 나
타난다. 송광익 작가의 작품이 가진 반복의 형식 역시 작가의 의지와 무의지적 기억의 표출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일필휘지(一筆揮之)나 화룡점정(畵龍點睛)이 노는 화면의 감각적 자극과는 매우 다른 욕망의 표상이다. 
이를 ‘그리고(and)’의 욕망이라고 하고 싶다. 즉 특정한 요소 어느 하나가 배타적 등급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하나하나가 소중한 ’그 다음에 그리고 그 다음에‘를 지향한다. 차별이 없고 
한결같음이 드러나는 작업이다. 그래서 그의 작업은 자연스럽고 편안하다. 그런데 이 한결같을 것만 같은 작
업이 또 다른 에너지를 발산한다. 물방울들이 모이고 모여 거대한 파도를 만들 듯, 차이를 만드는 다양한 하나
하나가 압도하듯 달려든다. 수많은 자극들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시대에 그의 화면은 바람에 지나는 논밭인 듯 
평화로운 에너지가 넘치지만, 한편으론 몰아치는 힘이 공존한다. 그래서 그의 화면은 ’느릿느릿한 화살‘이
다. 천천히 스며들어 찌른다. 


지물 4. 和 화목하다, 서로 응하다, 화답하다 : 화

송광익 작가의 화면에는 살아 움직이는 기운이 있다. 살아 움직인다는 것은 ‘정(靜)과 동(動)’ 혹은 ‘음
(陰)과 양(陽)’ 같이 상반된 에너지가 함께 작동할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지물은 상반된 두 에너지가 서로 
응(應)하고, 화(和)해서 만드는 다양한 변주로 자신의 얼굴과 목소리를 만든다. 자연을 닮은 종이와 인공물
인 고무의 만남이 그러하고, 물과 친한 종이와 물을 밀어내는 열림, 빛과 어둠, 드러냄과 숨김의 연출이 그러
하고, 거칠게 찢긴 종이의 단면과 가위로 매끄럽게 재단된 날카로운 선의 공존이 그러하다. 금방이라도 날아
갈 것만 같은 나약한 종이의 물성이 하나하나 집적되어 태풍에도 끄떡없이 견딜만한 건축적 구조물로 다시 태
어남이 그러하다. 한편 송광익 작가의 작업은 단색화 혹은 미니멀 아트 범주로 볼 수 있겠지만, 작품은 두 범
주 사이를 교묘히 교차한다. 지물은 단색화의 미적 특질과 구조인 평면성과 시간 축적의 결과물 즉 물아일체
(物我一體)의 동양적 작업 방식에 의해 탄생한다. 그러나 지물은 단색화가 미니멀 아트와 결정적으로 갈라서
는 정신성, 자기초월성은 가지지 않는다. 또한 지물은 물질이 전하는 다양한 미적 질감의 탐구로서, 미니멀 아
트가 가졌던 물질성과 반복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지물은 작가의 인격적 개입을 최소화하여 냉정함과 엄숙함
을 전하는 미니멀 아트와는 달리, 순수한 손의 노동이 만드는 다양한 변화와 재료의 친근함으로 인해 소박하
고 아기자기하다.


지물 5. 勞 말하다, 지치다, 애쓰다, 괴로워하다, 즐겁다 : 노

순수함이 주는 감동이 있다. 아기의 순수한 미소, 어린이의 순수한 노래, 청춘의 순수한 사랑, 그리고 노동의 
가치와 힘을 믿는 작가의 순수한 노동. 송광익 작가의 지물은 순수한 노동의 산물이다. 작가는 어떤 작품이 나
올지 기대하며 종이를 접고 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수십 수만 번의 반복 또 반복, 고행에 가까운 제작 과정
을 거쳐 완성에 이르렀을 때 마침내 찾아오는 카타르시스의 감동, 그것은 순수한 노동을 선택한 작가만이 누
리는 그만의 몫이다. 더불어 효율이 삶의 미덕인 시대이기에 효율과는 거리가 먼 그의 노동은 오히려 빛을 발
한다. 지난한 시간과 상상을 넘어서는 노동의 강도가 집적된 그의 작품은 효율로는 절대 만들어낼 수 없는 손
맛의 깊이를 만들고, 손의 노동이 가진 가치를 일깨운다.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유곡리 327번지 오전 10시, 
오늘도 이곳에 출근한 작가는 오후 6시가 되면 집으로 돌아갈 것이다. 매일매일 종이와 그렇게 지냈다. 그렇
게 수도자와 같은 시간을 쌓고 쌓아서 각기 다른 맛을 가진 종이들, 사물들의 다양한 내면을 우리에게 선물한
다. 그리고 만남은 또 다른 만남을 낳듯 종이와의 씨름에서 얻은 수많은 경험들은 무궁무진한 또 다른 작품으
로 만들어 질 준비를 하고 있다. 다만 홀로 시간과 싸워야 하는 작가의 작업 과정으로 인해 작가의 작품을 대
할 시기가 더뎌지는 것이 안타깝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작업을 시작할 때 작가가 느끼는 기대와는 
다른 설렘을 가진다. 그리고 새로운 지물의 탄생을 기다린다. 작가가 지난한 과정을 지나 작품 앞에 서서 느꼈
을 카타르시스와는 또 다른 감각적 경험의 대면을 고대하면서... 


하윤주, 전시기획 및 평론/미학




Things, Play, Panorama, Paper Things by Song Kwangik 
Since the early 2000s Song Kwangik has set aside painting and focused primarily on making things. The works he has produced are always titled Paper Things. A number of diverse paper things have come into being by his hand. While this shift was triggered by hanji (handmade Korean paper), he has moved beyond the material and is currently unveiling the hidden sides of various other kinds of paper such as newspaper, magazine paper, and printmaking paper. Recently he has been maximizing the material property of paper by adding an object (rubber) with a feature that conflicts it in his work. All the same, his primary concern is paper. What do his works leave behind through his encounters with paper now that he has put aside his long history with painting?


Paper Things 1. Knowledge (知)
 
Know, reveal, close friend, one who recognizes me, be friends:knowledge
We tend to agree that artists are a bit different from us. These “sort of different beings” rely on the different ways they see the world. We experience this with the mystic phenomenon that occurs when paper, a common object in our surroundings, comes across an artist in Song’s work. That is, his paper things lead us to ponder an encounter with a thing or a human or its depth. Philosopher Martin Buber asserted that the I–Thou relationship and the I–It relationship are the only two attitudes to face the world, and human life finds its true meaning not in the I–It relationship but in the I–Thou relationship. Although paper is a thing, Song encounters it not in the I–It relationship but in the I–Thou relationship. Song sensitively responds to and harks back to the multifarious properties of paper things and their associated phenomena. The experiences collected and accumulated in this way are born into paper things with different material properties and emotions. He captures the innumerable faces of paper out of curiosity using his acute senses and then consistently incarnates them as the faces of other paper. Both the artist and paper know and perceive themselves and others. He is also thrilled to constantly encounter paper. This I–Thou relationship appears as a variety of endless paper things before us. 


Paper Things 2. Thing (物) Thing, all things, object: thing
 
Paper is a thing that has shared joys and sorrows with mankind from the pre-Christ era as a means to convey culture. Song Kwangik emancipates paper from its ancillary function to deliver information. To the artist, paper is not a means but an end itself. The process in which a material becomes an artwork by being used not as a means to accomplish its purpose itself but for a pure self-purpose is based on the “autonomy” contemporary art has achieved. And yet, an artwork has content and signification as it is the result of one’s artistic expression. Both content and signification are external investigations in art that address materials, and we try to define a work of art predicated upon them. That being said, a work of art serves as a tool to carry out meaning. Song keeps a distance from any concept in order to showcase the nature of paper things. The “pure self-purpose” is perhaps impossible since form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content. The artist, however, tries to gain freedom from paper things by resisting against and keeping his distance from concepts. He describes this sort of endeavor as “to relax”. Paper is reborn into 
countless paper things within the boundary of secured freedom and Song feels happy with it. Song’s work is imbued with the pleasure he felt when he played with paper by tearing, folding, and gluing it together as a child. 


Paper Things 3. Adaptation (順)
 
 Docile, conform, connect, duty, beautiful eyes: adaptation 
A wide array of works are created through variations of pieces of paper, opening and folding, and tearing and cutting on a solid foundation made up of continuous ㅛ-shaped pieces of paper. His work seeks another kind of harmony by placing an object on paper. A work of art is completed through an accumulation of repetitive practices. Song’s work is realized through repetition, continuation, constant flow, and seemingly endless extensions. Every artist produces their works with their own artistic will which is expressed in ways such as production, placement, assembling, and composition. This phenomenon is brought about by an artist‘s will, experiences, and involuntary memories and appears in some form by manual labor. The form of repetition in Song’s work can also be described as an expression of his will and involuntary memory. 
This is a representation of desire that is very different from sensuous stimulation. The specific elements in his work do not remain exclusive and each one is constantly created so that each one is precious. His work is thus marked by consistency, not discrimination. As a result, it feels natural and comfortable. And yet, it also emits another energy. Diverse factors that bring about differences are overwhelming, almost like how small drops of water gather to form huge waves. His scenes overflow with a peaceful energy in the age of producing and consuming innumerable images and stimulations but they also possess an overwhelming power in a sense. They can be regarded as “a slow arrow” in that they slowly filter into and pierce us. 


Paper Things 4. Harmony (和) Be in harmony, respond to each other, reply: harmony 

Song’s work is full of living energy. Vitality is a phenomenon arising when contrasting energies like 
movement and stillness as well as yin and yang work together. Paper things shape their own faces and voices through variations brought on by contrasting energy when they are in response to or in harmony with each other. This is also true with the encounter between the natural object paper and the artificial object rubber. And, again with the direction of light and darkness as well as revelation and concealment. So does the coexistence of roughly torn paper’s cross section and sleekly cut lines. So does an architectural structure to resist typhoons with the integration of paper’s feeble material properties that are likely to be blown away. Song’s work can be seen as monochromatic painting or minimal art but it exquisitely crosses the two categories. Paper things come into being by flatness, an aesthetic property and structure of monochrome painting or by an Oriental way of working that seeks the union of self and things. And yet, paper things have no spirituality or self-transcendence, features that distinguish monochrome painting from minimal art. Paper things have material property and repetitive structure minimal art possesses as an exploration of multifarious aesthetic textures. Unlike works of minimal art that bring about cold￾headedness and gravity by minimizing the artist’s personal involvement, Song’s paper things appear modest and dainty with material familiarity and variations rendered by the pure labor of hands. 


Paper Things 5. Labor (勞) Tell, be tired, make an effort, take pains, be pleasant: labor 

We are often moved by pureness: a baby’s innocent smile; a child’s pure song; a young man
’s pure love; and pure labor by the artist who believes in the value and power of labor. Song’s paper things are the products of pure labor. Song folds and cuts pieces of paper with the expectation of admirable artworks. He feels catharsis when his work is completed after a myriad of repetitions and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working that approximates to asceticism. That is his share he is allowed to relish as the artist who has chosen pure labor. His labor that is far from efficiency rather emits light in the era when effectiveness is one of its primary virtues. His work couched in the unimaginably high intensity of labor brings about some deep taste and flavor and has viewers realize the value of labor.327, Yugok-ri, Yuga-myen, Dalseong-gun, Daegu at 10:00 am. He is here now today but is going to return home at 6:00 pm. He has been with paper 
everyday. He presents paper with different tastes and various inner aspects of things to us while living an ascetic life with paper. He is also ready to produce another work whose possibilities are infinite with diverse experience he gained through his wrestling with paper. Unfortunately, however, time to meet his work has been deferred gradually due to the process that he works alone. That being said, we are thrilled when he starts his work again. We look forward to the birth of his new paper things, anticipating another sensuous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catharsis he probably felt before his pieces after passing the laborious process. 


 Ha Yun-ju, Exhibition Planning/ Criticism/ Aesthetics
덧글 0 개
덧글수정